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를 때 사용하지만 금수저·흙수저처럼 숟가락을 달리 부르는 말이기도 하죠.
숟가락만을 가리켜 수저라고도 하는데 외려 잘못 쓴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숟가락과 젓가락의 받침을 두고도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바늘과 실처럼 짝을 이루어 사용해서 ‘수저’로 불리고 둘 다 똑같은 가락인데,
받침이 ㄷ 과 ㅅ으로 다른 이유는 뭘까요
숟가락은 퍼 먹기 좋은 모양이고 젓가락은 집기 편한 모양이라는 건 우스갯소리죠
역사적으로 언어의 변천과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젓가락은 한자어 ‘저(箸)’에 순우리말 가락이 더해진 단어죠.
저까락으로 된소리가 나므로 사이시옷 규정에 따라 사이시옷을 넣어 줍니다.
여기에 영향을 받아 숟가락을 숫가락으로 잘못 표기한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숟가락은 차이가 있습니다
젓가락처럼 숟까락으로 된소리가 나므로 수에 가락이 붙은 말로 생각하기 쉽지만 숟가락이 올바른 표기죠.
젓가락은 ‘저+가락’이지만 숟가락은 ‘술+가락’으로 구조가 다릅니다
한글맞춤법 제29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죠
우리말에는 이런 사례가 여럿 있다.
섣달(설+달), 이튿날(이틀+날), 사흗날(사흘+날), 반짇고리(바느질+고리), 섣부르다(설+부르다)가 대표적이다.